반응형
최근 안전자산의 대명사인 '금(Gold)'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. 실물 금을 직접 사서 보관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, 한국거래소(KRX)가 운영하는 KRX 금 현물 시장을 활용해 보세요! 주식처럼 쉽고, 세제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KRX 금 거래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.
1. KRX 금시장, 왜 주목해야 할까요? (장점)
KRX 금시장은 기존의 골드바 매매나 금 통장(골드뱅킹)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강력한 장점이 있습니다.
구분 | KRX 금시장 | 금 통장 (골드뱅킹) | 실물 골드바 매입 |
세제 혜택 (가장 중요!) | 매매 차익 비과세! (양도세, 배당소득세 면제) | 매매 차익에 15.4% 배당소득세 부과 | 매입 시 10% 부가가치세 부과 |
최소 거래 단위 | 1g 단위 (소액 투자 가능) | 0.01g 단위 (소액 투자 가능) | 주로 10g, 100g, 1kg 단위 |
거래 수수료 | 0.2%~0.4% 내외 (증권사별 상이) | 약 1% 내외 | 10% 부가세 + 수수료 (총 16% 내외) |
실물 인출 가능 여부 | 가능 (100g, 1kg 단위) | 실물 인출 가능 (단, 세금/수수료 부과) | 즉시 소유 |
✅ 최대 장점: 금을 사고팔아 시세 차익이 발생해도 세금이 한 푼도 붙지 않는다는 점입니다. 다만, 실물로 인출할 때만 부가가치세(10%)가 부과됩니다.
2. KRX 금시장 거래 방법 (3단계)
KRX 금 현물 시장은 주식 거래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.
📝 Step 1. 금 현물 계좌 개설
거래를 위해서는 반드시 증권사에 **'금 현물 거래 계좌'**를 개설해야 합니다.
- 증권사 선택 (핵심): KRX 금시장에 참여하는 증권사(대부분의 주요 증권사)를 선택합니다. 증권사별로 수수료 및 보관료 정책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증권사별 주요 조건 및 장점 (예시) | 특징 및 고려 사항 |
A 증권사 (예: 미래에셋증권) | 온라인 매매 수수료 최저 수준. 단기 트레이딩에 유리할 수 있으나, 일부 보관 수수료가 일 할 계산되어 장기 보유 시 총 수수료율을 비교해 봐야 함. |
B 증권사 (예: NH투자증권, 유안타증권) | 장기 투자에 유리한 수수료 정책. 일일 보관 수수료가 없거나 매우 저렴하여, 1년 이상 장기간 금을 보유할 투자자에게 적합. |
C 증권사 (예: 키움증권) | 온라인 거래 시스템(HTS/MTS)의 편리성. 기존 주식 거래 고객에게 익숙하며, 거래 수수료 경쟁력도 갖춤. |
D 증권사 (은행 연계형) | 은행 계좌와의 연동 편의성. 주식 거래 경험이 적은 투자자도 쉽게 접근 가능. |
- 계좌 개설: 증권사 지점 방문 또는 비대면(모바일 앱)으로 주식 계좌와 함께 금 현물 계좌를 연결하여 개설할 수 있습니다.
- 거래 수단: HTS(PC)나 MTS(모바일 앱)를 통해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합니다.
📝 Step 2. 금 매매 주문 (주식 거래와 동일)
계좌에 현금을 입금했다면, 이제 금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.
- 거래 시간: 오전 10시 ~ 오후 3시 (주식 시장과 유사)
- 거래 단위: 1g 단위로 주문 가능 (소액 투자에 유리)
- 주문 방식: 현재 금 시세를 확인하고, 사고 싶은 가격과 수량(g)을 입력하여 매매합니다.
- 결제: 매수한 금은 한국예탁결제원에 안전하게 보관되며, 투자자는 해당 금에 대한 '지분'을 보유하게 됩니다.
💡 Tip: KRX 금시장에서는 순도 99.99%의 금지금(골드바)만 거래되며, 개인이 보유한 금을 다시 시장에 팔 수는 없고, 적격 생산/수입업자가 매도한 금만 거래됩니다. (즉, 최초 거래는 매수만 가능)
📝 Step 3. 매매 차익 실현 (비과세!)
금 가격이 상승했을 때 보유한 금을 매도하면, 매도 금액이 현금으로 계좌에 입금됩니다.
- 세금 혜택: 매매 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, 배당소득세 등이 전혀 부과되지 않습니다.
3. 가장 중요한 '세금과 수수료' 정리
KRX 금 투자의 장점은 낮은 비용 구조에 있지만, '실물 인출' 시에는 주의해야 합니다.
항목 | KRX 금시장 내 거래 (계좌 거래) | 실물 인출 시 |
거래 수수료 | 온라인 0.15% ~ 0.4% 내외 + 유관기관 수수료 (총 합산 약 0.3% 수준) | 인출 수수료 (골드바 1개당 2만 원 내외, 증권사별 상이) + 운송 수수료(선택 시) |
부가가치세 (VAT) | 면제 (거래 시 부과 안 됨) | 10% 부과 (평균 매입금액의 10%) |
양도/배당소득세 | 비과세 (0%) | 비과세 (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음) |
🚨 실물 인출 시 핵심 주의사항
- VAT 10%: KRX 금시장의 최대 장점인 비과세는 계좌 내 거래에만 해당됩니다. 실제 골드바를 인출하는 순간, **평균 매입금액의 10%**를 부가가치세로 납부해야 합니다.
- 인출 단위: 100g 또는 1kg 단위로만 인출 가능합니다. (보유량이 인출 단위가 안 되면 인출 불가)
- 인출 절차: 증권사 영업점 방문 신청 후, 익일~약 2일 소요되며, 증권사 지점에서 직접 수령하거나 운송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결론: KRX 금시장은 세제 혜택을 누리면서 금 가격 상승에 투자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. 실물 인출 계획이 없다면 세금 부담 없이 투자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!
반응형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은행 금리 쇼크! 세람저축은행 '펫밀리 적금' 만 7세만 가능한 5.0% 고금리 통장 만드는 법 (1) | 2025.10.08 |
---|---|
연금액이 최대 36% UP! 국민연금 '연기연금' 활용 꿀팁과 꼭 알아야 할 숨겨진 함정 (0) | 2025.10.08 |
🔥 노후 비상등: 국민연금 30년 납부, '월 200만원' 수령의 현실적인 가능성은? (계산식 포함) (0) | 2025.10.08 |
팔란티어(PLTR) 주가 급락, 단순 조정인가? AI 거품 붕괴의 서막인가? (0) | 2025.10.06 |
추석 아이용돈, 어디에 넣을까? 10% 적금부터 3~6%대 실속형까지 전 상품 실전 가이드 (0) | 2025.10.06 |